건강가이드

여름철 '얼죽아' 즐겼다간…불안·복부팽만 부르는 '최악의 습관'

 우리가 무심코 마시는 음료의 온도가 정신 건강과 소화 기능에 생각보다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최신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영향은 아시아인과 백인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나, 인종적 특성과 체질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대 연구팀이 18~65세 성인 41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평소 섭취하는 음식과 음료의 온도가 우리의 몸과 마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과학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연구 결과는 매우 흥미로운 인종별 차이를 보여주었다. 아시아인 참가자 그룹에서는 여름철에 차가운 음료를 많이 마실수록 불안 수치가 뚜렷하게 증가했으며, 복부 팽만감과 같은 소화기 불편 증상도 함께 높아졌다. 심지어 차가운 음료를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은 가장 적게 마신 그룹보다 불면증 점수가 1.26점이나 높게 나타나, 수면의 질에도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백인 참가자들은 정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겨울철에 따뜻한 음료를 자주 마실수록 불면증 수치가 낮아지고 가스 증상이 줄어드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했다. 따뜻한 음료를 가장 많이 마신 그룹은 우울증 점수가 1.73점이나 낮아져, 따뜻한 음료가 정신 건강에 이로운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현격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인종별 체질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찾았다. 특히 평소 손이 차다고 느끼는, 즉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음료 온도의 영향을 더욱 민감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차가운 음료가 체내에 들어왔을 때 발생하는 체온 저하와 장내 미생물 균형의 변화를 핵심 메커니즘으로 지목했다. 과거 동물 실험에서도 차가운 음료가 장내 미생물 군집을 교란시키고 심부 체온을 낮추는 것이 확인된 바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소화 장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 문제와도 깊은 연관이 있다. 반대로 따뜻한 물을 마시는 것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위장 증상을 완화하며 신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번 연구는 서양 영양학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음식의 온도’라는 변수의 중요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전통적으로 중국 의학이나 인도의 아유르베다 의학에서는 오래전부터 차가운 음식을 경계하고 따뜻한 음식 섭취를 권장해왔는데, 이번 연구가 바로 그 전통적 지혜를 뒷받침하는 첫 번째 과학적 사례가 된 셈이다. 특히 미국 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이민자 그룹인 아시아인들이 차가운 음료와 음식을 훨씬 많이 소비하는 서구식 식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건강상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가 인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 증진 정책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일상적인 선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더 명확히 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